마라톤 성공에 관한 진실(The Truths of Marathon Achievement)
페이지 정보
작성자 이경두 댓글 0건 조회 4,306회 작성일 03-09-10 10:39본문
다음은 Hal higdon의 "Marathon"에 있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.
Truth 1): 점차적으로 멀리 달리기(LSD) 훈련이 완주를 가능하게 한다.
가장 긴 LSD는 경기 3주 전까지 하고 그 횟수는 초보자는 1회 경험자는 3회까지 한다. 마지막 2개월에 18마일(29Km) 이상을 6회 뛰는것을 권하는 사람도 있다.
Truth 2): 휴식일은 건강을 유지하는 열쇠이다.
우리몸의 근골격계는 일반적으로 힘든훈련후 회복에 48시간을 요한다. 힘든 훈련(특히 LSD)을 하는 주는 쉬운 달리기나 크로스 트레이닝(걷기, 수영 등) 또는 완전한 휴식일로 스트레스를 줄여주어야 한다.
Truth 3): 한 단계 후퇴는 한 단계 전진을 가져오게 한다.
휴식일 뿐만 아니라 휴식주도 필요하다. 휴식주에는 주당 달리기 거리를 줄이고 LSD를 없앤다.
Truth 4): 스피드 트레이닝은 양날을 가진 칼날이 될 수 있다.
빨리뛰면서 점차로 멀리 뛰는 것은 너무 큰 스트레스이다. 스피드 훈련을 주간 훈련거리의 일 부분으로 할려고 하지말라. 빨리 달리는 것을 원하는 것이지 부상을 원하지는 않기 때문이다.
Truth 5): 페이스를 배우는 것과 경기하는것을 배우는 것은 두가지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.
누구나 바른 페이스로 달린다면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다. 약간의 계산착오라도 페이스를 빠르게 하면 위험이 증가하고 실패할 수 있다. 덜 중요한 경기에서 실수하고 중요한 마라톤에서 고칠수 있다면 최상이다. 훈련기간에 경기페이스로 달리는 훈련을 포함해야 한다.
Truth 6): 테이퍼링(Tapering:경기전 훈련의 양을 줄이는것)은 예술이며 과학이다.
개인에 따라 테이퍼링 기간은 3일에서 3주까지 다양하다. 테이퍼링은 손상된 근육을 치유해 줄 뿐만 아니라 근육에 글리코겐 저장을 도와준다. 테이퍼링 기간에 뛰는 거리는 줄이지만 속도는 줄이지 말라. 거리는 짧지만 경기페이스를 연습하는 좋은 때이다.
Truth 7): 동기부여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.
동기부여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와야 한다. 마라톤에서 또는 인생의 다른 활동에서 성공하려면 그만한 대가를 치를 준비가 필요하고 마라톤에서의 성공에는 용기와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.
Truth 1): 점차적으로 멀리 달리기(LSD) 훈련이 완주를 가능하게 한다.
가장 긴 LSD는 경기 3주 전까지 하고 그 횟수는 초보자는 1회 경험자는 3회까지 한다. 마지막 2개월에 18마일(29Km) 이상을 6회 뛰는것을 권하는 사람도 있다.
Truth 2): 휴식일은 건강을 유지하는 열쇠이다.
우리몸의 근골격계는 일반적으로 힘든훈련후 회복에 48시간을 요한다. 힘든 훈련(특히 LSD)을 하는 주는 쉬운 달리기나 크로스 트레이닝(걷기, 수영 등) 또는 완전한 휴식일로 스트레스를 줄여주어야 한다.
Truth 3): 한 단계 후퇴는 한 단계 전진을 가져오게 한다.
휴식일 뿐만 아니라 휴식주도 필요하다. 휴식주에는 주당 달리기 거리를 줄이고 LSD를 없앤다.
Truth 4): 스피드 트레이닝은 양날을 가진 칼날이 될 수 있다.
빨리뛰면서 점차로 멀리 뛰는 것은 너무 큰 스트레스이다. 스피드 훈련을 주간 훈련거리의 일 부분으로 할려고 하지말라. 빨리 달리는 것을 원하는 것이지 부상을 원하지는 않기 때문이다.
Truth 5): 페이스를 배우는 것과 경기하는것을 배우는 것은 두가지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.
누구나 바른 페이스로 달린다면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다. 약간의 계산착오라도 페이스를 빠르게 하면 위험이 증가하고 실패할 수 있다. 덜 중요한 경기에서 실수하고 중요한 마라톤에서 고칠수 있다면 최상이다. 훈련기간에 경기페이스로 달리는 훈련을 포함해야 한다.
Truth 6): 테이퍼링(Tapering:경기전 훈련의 양을 줄이는것)은 예술이며 과학이다.
개인에 따라 테이퍼링 기간은 3일에서 3주까지 다양하다. 테이퍼링은 손상된 근육을 치유해 줄 뿐만 아니라 근육에 글리코겐 저장을 도와준다. 테이퍼링 기간에 뛰는 거리는 줄이지만 속도는 줄이지 말라. 거리는 짧지만 경기페이스를 연습하는 좋은 때이다.
Truth 7): 동기부여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.
동기부여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와야 한다. 마라톤에서 또는 인생의 다른 활동에서 성공하려면 그만한 대가를 치를 준비가 필요하고 마라톤에서의 성공에는 용기와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